해외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매도세금 15만원 납부후 리뷰

해외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매도세금 15만원 납부후 리뷰해외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매도세금 15만원 납부후 리뷰굳이 부자가 되겠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경제 인플루언서 18위 협업/강의문의 : [email protected] blog. naver.com위 탭에서 최근 지속적으로 종합소득세에 대해 이야기해 왔습니다.종합소득세를 환급받으신다고 좋아하시다가 5월부터는 해외주식, 미국주식에 대한 양도소득세 신고 및 납부기한이기도 해서 그 내용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던 중 저도 2023년 매도분에 대해 세금이 15만원 발생한 것을 확인하고 납부한 후기까지 보여드리도록 할 테니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주식 양도 소득세먼저 주식 양도소득세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주식을 매도했을 때 발생하는 양도차익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을 의미하며, 매도세금이라고도 합니다.즉, 매도가격과 매입가격의 차이로 수익이 발생하면 그 수익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현재 국내주식에서는 대주주에게만 부과하고 있으며, 해외/미국주식에서는 모든 사람에게 부과하고 있습니다.주식 양도소득세 기준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국내 주식으로는 현재 대주주에게만 부과되고 있는데 금투세 도입과 관련해 얘기가 많은 상황입니다. 이 내용을 검색해서 다른 문장으로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2024년 기준 대주주 중에서도 종목별 보유금액 50억원 이상, 코스피 지분율 1% 이상, 코스닥 지분율 2% 분들에게 부과되고 있습니다.해외/미국주식에서는 양도차익 250만원까지는 비과세이며 초과분에는 22%의 세율을 곱해서 양도소득세가 계산되어 해외주식을 하시는 모든 분들에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2023년 해외/미국 주식 양도차익이 250만원을 초과한 분들은 양도소득세를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다만, 신고의 경우 이용하시는 대부분의 증권사가 제공하고 있는 신고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다만, 양도차익이 250만원 이하인 분들도 원칙상으로는 신고를 해야 하는데, 현재까지 신고를 안 했다고 해서 페널티를 받은 분들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250만원 이하인 분은 양도소득세 신고를 따로 하지 않으셔도 되고, 혹시 문제가 생겼더라도 증빙만 하시면 됩니다. 양도소득세 조회 납부 방법해외 미국 주식 매도 세금인 양도소득세를 조회하고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심지어 저에게 발생한 15만원이라는 양도소득세를 직접 납부하는 것까지 보여드리겠습니다.1. 국세청 홈택스 연결 2. My 홈택스 클릭 3. 신고/소득탭목록조회 클릭1. 국세청 홈택스 연결 2. My 홈택스 클릭 3. 신고/소득탭목록조회 클릭4. 신고서 보기(필요한 경우), 증권사에서 양도소득세 신고대행 서비스를 제공해 주었기 때문에 여러분이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위와 같이 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신고서 보기를 클릭한 경우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5. 내용을 확인 가능 6. 국세를 납부하는 클릭 양도 소득 금액(차익)기본 공제 250만원 납부하는 세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왼쪽의 화면은 단순히 확인용이므로, 보신 후는 꺼주세요.5. 내용 확인 가능 6. 국세를 납부하는 클릭 양도소득금액(차익), 기본공제 250만원, 납부할 세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왼쪽 화면은 단순히 확인용이니 보시고 난 후에는 꺼주세요.7. 조회하기클릭8,납부할세액만큼납부세액입력9,납부하기클릭7. 조회하기클릭8,납부할세액만큼납부세액입력9,납부하기클릭10. 금액 확인 후 납부할 클릭 11, 납부 진행 12, 납부 결과 확인 11번의 단계에서 납부의 경우 계좌 이체, 간단한 결제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단 계좌 이체를 제외한 삼성 페이, 카카오 페이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별도의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나는 그저 계좌 이체로 처리했습니다.오른쪽 사진처럼 약 15만원의 양도 소득세 납부를 완료했습니다. End오늘은 “해외 미국 주식 양도 소득세 신고, 매도 세금 15만원 납부 후기”을 주제로 글을 작성했습니다.사실, 양도 소득세 신고/납부를 피하기 위해서 기본 공제 금액인 250만원까지 양도 차익을 맞추려고 했지만, 증권 회사를 복수 사용했기 때문에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고, 15만원이라는 매도 세금이 발생했습니다.여러분도 본문에서 선 보였던 해외의 미국 주식 양도 소득세 납부 방법을 참고하고 시한(5월 31일)내에 납부하세요.기한 내에 하지 않은 경우 가산세의 부과 및 체납 처분을 받기가 있으니 꼭 내세요.올해도 낼 가능성이 높은 것 같은데 잘 조정하고 봐야 합니다.여러분도 본문에서 보여드린 해외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납부 방법을 참고하시어 기한(5월 31일) 내에 납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한 내에 내지 않을 경우 가산세 부과 및 체납 처분을 받을 수 있으므로 꼭 지불해 주십시오.올해도 낼 가능성이 높은 것 같은데 잘 조율해 봐야겠어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