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 : GDP와 행복지수에 관하여 / 지금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경제 공부 : GDP와 행복 지수에 대해 / 지금 당신은 행복합니까?

GDP ‘GDP(국내총생산)’의 사전적 의미는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 기간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을 말한다.(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해 창출된 것도 포함한다) 그리고 GDP는 당해 연도 및 기준연도 중 어느 해의 시장가격을 이용하여 생산액을 평가하느냐에 따라 ‘명목 GDP’, ‘실질 GDP’로 구분된다. 명목GDP는 생산액을 당해 연도의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물가상승분이 반영된 것이고 실질GDP는 생산량에 기준연도의 시장가격을 곱하여 가격변동은 제거되고 생산량변동만을 반영한 것을 말합니다.

국내총생산과 행복지수

GDP와 행복지수, 한국의 첫 GDP는 1953년에 477억4,000만원였습니다. 1970년 박정희 정권의 ‘잘 살아보자’라는 슬로건을 내건 새마을운동에서 시작된 정부의 경제개발 정책 덕분에 조금씩 빈곤에서 벗어났습니다. 잘 살면 행복해질 수 있다는 맹목적 신념으로 정부와 국민이 한마음으로 고군분투했고, 그 결과 2021년 우리나라 GDP는 2071조6580억원(명목 GDP)로 1953년에 비해 무려 4만배 가량 증가했습니다. 수치만 봐도 당시에 비하면 엄청난 발전을 이뤘다고 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평균적으로 삶의 질이 높아진 것 또한 맞습니다.(2022년 대한민국 GDP는 세계 12위) 다만 2020년 한국의 자살률은 OECD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고 2022년 유엔 세계행복지수 순위는 149개국 중 59위를 기록했습니다.(1위 핀란드, 16위 미국, 54위 일본, 72위 중국)

돈과 행복

돈과 행복 GDP는 엄청나게 올랐지만 인생의 행복은 상대적으로 낮은 느낌입니다. 이것을 보면 기본적인 수준까지는 그 나라의 경제력이 행복 수준을 결정하지만 반드시 그에 비례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예를 하나 들자면 반의 평균 성적은 높지만 그 반의 모든 학생들의 성적이 고르게 상승했다고 볼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경제적 부가 행복의 유일한 척도가 아님을 보여줍니다. 경제 규모는 단순히 숫자로 파악할 수 있지만 행복지수를 결정하는 요인은 정말 다양합니다. 그리고 행복이라는 단어 자체가 너무 애매한 개념이기도 합니다. 자유, 환경, 사회 등 행복을 결정하는 요소와 의미를 다양한 방향으로 다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